목록통계 이론 (2)
공부하자
제 12장 가설검정의 기초 -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귀무가설(H_0) : 연구 과정에서 검정의 대상이 되는 가설. 대립가설(H_1) : 귀무가설이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판명됐을 때 대신 받아들여지는 가설. 보통의 연구에서는 귀무가설을 거부하기 위해 연구를 한다. -> 가설 검정을 왜 하는가? 지금까지 알려진 모수치가 어떤 이유로 인해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가설 검정을 하는 것. 귀무가설은 직접 검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등식으로 표시된 가설이 귀무가설이 되는 게 타당하다. ex) 정상/비정상에 대한 가설검정을 할 때, 정상 수치의 모집단에 대한 가설이 귀무가설이 될 것... 왜냐면 비정상인 모집단은 무수히 많을 것이기 때문에 직접 검정이 어려울 것이니까? - 유의수준과 임계값 유의수준 : ..

제 2장 자료의 정리 - 명목변수(nominal) : 그냥 구분 기호로 표시되는 변수들(Categorical) - 서열변수(ordinal) : 측정 대상간의 순서를 매기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. 1등, 2등, 3등이나 A, B, C 성적 등이 포함됨. ##서열변수의 자료는 사칙연산이 포함되는 분석은 불가능하다. 즉 연속형/이산형 취급이 안된다. - 등간변수(interval) : 측정대상의 순서뿐 아니라 순서 사이의 간격을 알 수 있는 변수. 변수간 차이를 계산할 순 있지만 차이의 비율이 큰 의미가 없다고 함 - 비율변수(ratio) : 등간변수의 특성 + 차이의 비율계산이 가능한 변수, 연령, 무게, 시간, 거리 등. ##등간변수의 0은 상대적 위치일 뿐이지만, 비율변수의 0은 그 자체로 0이다. 이게 다..